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3
작업형은 비슷하게 나오는 것 같은데 단답형이 문제인 것 같다.
내가 보는 유튜브 채널도 이 부분을 포기하고 합격했다고 한다.
그만큼 범위도 방대하게 나오는 것 같다.
(내용 수정 : 직접 시험을 보고 나니까 문제가 나오는 부분은 정해져있다는 생각이 든다.
예를 들어 리눅스 명령어, 윈도우 명령어중에서 ping이라던가 tracert라던가하는 문제들이 나오고 라우팅 프로토콜의 이름을 맞추는 문제.
거의 이정도에서 나온다.
내가 본 회차도 그랬다. IGMP등의 프로토콜이 나오고 설명과 프로토콜을 맞게 짝짓는 문제가 나왔고
특정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을 모두 고르시오 같은 문제와 윈도우 tracert문제가 나왔다.)
일단 케이블 + 작업형 여러번 해보기.
단답형으로 2020년에는
* 리눅스 명령어 traceroute
* vtp에서 v의 의미
* ospf
* echo 명령어
선택형
TCP/ID 4계층에서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
IPv6 몇 비트인지 이런 게 나온 것 같고
라우터 문제가 3문제 나온다고 한다. 그냥 보기엔 좀 어려운데 좀만 공부하면 맞출 수 있는 문제라고 하니 공부해보자.
네트워크 관리사 실기가 생각보다 어려운 것 같다.
실습은 네트워크 관리사 홈페이지에서 라우터 파일을 받아 진행했다.
예제 1 router1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시오.
router1 -> 오른쪽에서 router1을 선택한다.
확인하고 -> show
처음에는 스탠다드 모드인데 이를 프리빌리지 모드로 바꾸어야한다.
enable
show ? 하면 show로 실행할 수 있는 옵션들이 나온다.
여기서 문제에 나온 조건은 인터페이스니까 interface를 확인하고
show interface
그런 다음 저장해야하니 copy run start를 해준다.
빠져나가기는 exit.
2번 예제 라우터에 접속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show문제가 나오면 show ? 를 사용해서 명령어를 확인하고 입력한다.
show users
그다음 copy run start를 이용해 저장하면 문제 맞춤.
3번 예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기.
이번엔 show ip ? 를 입력해서 확인한다.
라우팅 테이블은 route입력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번 예제: 플래쉬 내용을 확인하고 저장하시오
확인이라는 단어를 보면 -> show
마찬가지로 명령어 목록을 확인해보면 flash가 있다.
똑같이 실행
저장
끝.
5번 예제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저장.
위와 같이 진행하면 끝.
6번 소프트웨어 버전과 IOS 버전을 확인하고 저장
똑같이 풀고 끝.
다만 주의해야할 점은 라우팅 테이블은 show ip ?를 통해 접근해야한다.
다음은 ospf유형으로 문제의 난이도가 좀 있는 편이라고 한다.
예제 1번 기본 게이트웨이를 192.168.0.10으로 설정하시오.
여기서 conf t를 입력한다.
ip ?를 입력하면 기본 게이트웨이 명령어가 보인다.
설정해주면 된다.
ip default-gateway 192.168.0.10
만약 잘못 입력했다면 처음부터 다시 제대로된 값을 입력하면 수정된다.
예제 2번 호스트 네임을 icqa로 변경하시오.
이 것도 잘못한 경우 위와 같이 변경하면 된다.
제대로 수정한 뒤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