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정보처리기사 실기] 준비

effortless 2024. 4. 21. 13:31

정처기 필기는 합격했고 실기를 준비하는 중이다.

* 시험 팁 : 모르겠다면 단순하게 생각하는 것이 정답률을 높인다.

예를 들어 템퍼와 프루핑 어쩌고를 묻는다면 그냥 에라 모르겠다 템퍼 프루핑 그러면 정답이었다.

지뢰찾기 프로그램에서 결과를 물어보는 문제에서 그냥 에라 모르겠다. 지뢰찾기 생각해서 적으면 정답이었다.

 

문제 유형은 코딩문제는 약 8문제 정도가 나온다.

코딩 테스트 준비를 하는 취준생보다 대학교에서 C나 Java를 듣고 시험을 본 학생들이 좀 더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종류의 문제들이 많이 나온다.

 

(팁! 직접 문제를 풀기 어렵다면 함수의 이름이나 문제에서 주어진 단서를 가지고 푸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함수 이름이 F고 로직을 봤을 때 팩토리얼 같다면 정확한 로직을 어떻게 수행해야하는지 몰라서 찍는 것 보다 그냥 팩토리얼을 계산해보면 찍는 것보다는 훨씬 맞출 확률이 올라간다.

 

전에 지뢰찾기 코딩문제가 나왔는데 사실 코드를 볼 필요도 없이 우리가 아는 지뢰찾기 방식대로 답을 적으면 맞추는 문제였다.

 

파이썬 문제는 꼭 나오는데 쉬우니 각 메소드들의 특징을 잘 파악해서 가기. 틀리면 너무 아깝다.

 

SQL 문법 문제 약 2문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문법이 1문제 정도 나오고 잘 사용하지 않는 UNION과 같은 문제들이 나온다. 아니면 관계대수를 주고 결과를 물어본다던지하는 문제가 나온다. 교재에 있는 문법들 한 번씩 꼭 해보기.

* union : 두 테이블에서 중복을 제거하여 뽑아내는 문법

테이블 1에는 1,2,3이 있고 테이블 2에는 2,3,4가 있다면 결과는 1,2,3,4 

*기본 order는 asc 오름차순으로 1,2,3, 순서이다. desc를 명시하면 4,3,2,1이다.

 

 

이렇게 해서 코드 문제가 절반정도 된다.

 

나머지는 단답형

 

단답형의 팁은 정확한 영어 약자를 몰라도 한글로 길게 설명이 되어있을 때 그걸 영어 약자로 찍어서 맞출 수도 있다.

 

네트워크 파트 :

22년도까지만 해도 서브넷 마스크구하는 문제가 꼭 나왔는데 23년도에는 한 번도 안나왔다. 그래도 기출된 적이 있으니 꼭 잘 익혀가기.

 

요즘들어 교재에 나오지 않는 디테일한 문제들이 많이 나온다. HDLC가 교재에선 조그맣게 어떤 프로토콜인지만 나왔는데 정작 시험에선 디테일하게 묻는다던가 하는 문제들이다.

 

이렇게 나온다면 어찌보면 킬러 문제이니 틀린다고해도 크게 등락이 갈리지 않는다.

* SSH - 22번 포트를 사용하고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여 원격 시스템을 사용하는 프로토콜

* L2TP - 시험장에서 생각이 안나도 L2F와 PPTP를 결합했다고 하니 L2TP. 

* 데이터그램 가상회선
* Ajax

 

디자인 패턴 문제:

보기가 있고 설명이 있는데 해당하는 패턴을 고르는 문제.

그동안 나온 패턴은 싱글톤, 프록시, 팩토리 메소드, 옵저버,  이터레이터, 브릿지 정도이다.

한 번도 안나왔던 패턴이 나오면 이해가 가지만 이미 기출되었던 패턴을 틀리면 안된다!

 

다이어그램 문제:

그림과 설명을 주고 어떤 다이어그램인지 맞추는 문제.

(패키지 다이어그램인데 컴포넌트 다이어그램으로 고쳤다가 틀렸다.)

패키지 다이어그램은 폴더같이 생겼고 

이번에는 다이어그램의 종류와 구성 요소까지 공부해서 가야겠다.

* 사물 관계 다이어그램

22년도 3회차에선 인터페이스가 나왔다. 사관다로만 외웠다면 헷갈릴 것 같다.

UML 구성요소중... 사관다 중에서 하나 사물과 사물을 연결 -> 관계

공통의 속성 연산 관계 의미 -> 클래스

기능들을 모아놓은 클래스 추상메서드와 상수 -> 인터페이스

근데 

UML파트에서 인터페이스를 못보고 넘어갔으면 상당히 헷갈렸을듯.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문제:

내부, 개념, 외부 스키마 구분하는 문제

 

공격 기법 혹은 방어 기법 문제:

* 스킵잭이 문제로 나와서 좀 당황했었다. 처음 들어본 알고리즘이었다.

* 트로이목마, 바이러스, 웜 

* 다크데이터

* 템퍼 프루핑

* 대칭키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구분하는 문제

*

 

 

리눅스 명령어 :

* chmod 읽기 4 쓰기 2 실행1

만약 사용자에게 모든 권한을 주고 그룹에겐 읽기와 실행만 그리고 그 외엔 읽기만 준다면

답은 chmod 754

 

최신 용어:

* SSO 한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사이트를 로그인 없이 사용할 수 있음.

* OAuth 

* 커버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