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보처리기사 실기] 네트워크

중요 키워드 : 서브넷 마스크, SSH, 라우팅, NAT, 가상회선, 데이터 그램

 

OSI 7계층

 

APSTNDP(참고서에는 아파서 티내다, 피나다로 외우라고한다.)

응용 

표현

세션

전송 - L4스위치

네트워크 - 라우터, 게이트웨이

데이터링크 - 브리지, L2스위치/ 인접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 전송 오류 제어

물리 - 허브, 리피터/ 0과 1의 비트정보를 회선에 보내기 위한 전기적 신호 변환

 

요즘들어 네트워크 단원에서 디테일한 것들을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었다.

예를 들어 HDLC에 대해 묻는데 구체적인 원리와 용어를 묻는 문제인데 왠만한 참고서에는 한줄정도로 나와있을 것이다.

이런 문제는 나와도 맞추기가 힘들지 않을까 싶다. 그래도 기출되었으니 이 개념만큼은 익히고가는 게 좋을 것 같다.

 

또 다른문제는 2계층에서 오류 제어 방식을 물어보는데 다소 어려웠다. 

 

서브넷 마스크

ip c클래스 기준 수용가능한 호스트는 약 42억개정도라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ip주소 고갈문제가 생겼다.

그래서 원본 네트워크를 분할하여 여러개의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법이다.

 

ip주소는 네트워크 아이디와 호스트 아이디로 구분된다.

 

이 호스트 아이디를 서브넷아이디와 호스트 아이디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왜 서브넷 마스크라고 하냐면 분할된 서브넷들을 같은 그룹 안에 속하도록 같은 주소로 덮어 씌우는(masking)작업이라서 그렇다.

 

대부분 C클래스 제일 앞의 ip가 192~223사이로 나온다. 이런 경우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이다.

종류로는 FLSM, VLSM이 있는데 그냥 서브넷팅하는 방법은 하나라고 보고 문제를 풀어도 무방하다.

 

문제에서 C클래스 아이피를 192.168.1.0/24와 같이 준다. 슬래시 다음에 나오는 숫자는 서브넷 마스크의 1의 갯수이다. 24개니까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이다. 8*3 = 24

이렇게 주어진 아이피를 n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고 m번째 네트워크의 사용가능한 주소를 계산하는 문제가 나온다.

 

예를 들어 192.168.100.0 ip가 주어졌다. 192~223 사이의 ip이기 때문에 c클래스 ip이다.

 

이 아이피를 반이 6개인 학교에 할당한다.

 

000, 001, 010, 011, 100, 101을 사용해보자.

00으로 시작하는 서브넷 아이디로 하나의 서브넷 그룹을 만들 수 있고

나머지도 마찬가지이다.

 

그럼 앞의 비트 3개를 서브넷 아이디로 사용하고 나머지를 호스트 아이디로 사용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255 - (128+64+32)

00000000 ~ 00011111 192.168.100.0 ~ 31 하나의 서브넷당 네트워크 아이피와 브로드캐스트 아이피를 제외하고 30명의 호스트를 수용할 수 있다.

00100000 ~ 00111111 192.168.100.32~63

01000000~01011111 192.168.100.64~ 95

01100000~01100000 192.168.100.96 ~ 127

10000000~10011111 192.168.100.128~ 159

10100000~10111111 192.168.100.160~ 191

 

만약 5번째 서브넷의 사용가능한 마지막 ip주소를 구하라고 한다면 159에서 1을 뺀 192.168.100.158이 된다.

 

6개의 호스트를 가져야한다면 어떻게해야할까?

간단하다 255.255.255.0 즉 /24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에서 제일 마지막 비트 3개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

네트워크 주소는

192.168.100.0

192.168.100.1

192.168.100.2

192.168.100.3

192.168.100.4

192.168.100.5

192.168.100.6

192.168.100.7

 

이중에서 사용할 수 없는 주소인 0과 7을 제외하면 총 6개의 서브넷이 만들어진다.

서브넷 마스크 값은 255.255.255.248이 된다.

 

라우팅

크게 내부와 외부 프로토콜로 나뉜다.

내부 IGP:

동일한 AS내의 라우팅(AS란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논리적인 단위를 나타낸다.)

RIP, IGRP, OSPF

외부 EGP:

BGP

 

RIP는 벨만포드 알고리즘, 최대 홉수 15홉 제한

OSPF는 링크 상태 알고리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BGP는

 

* SSH 프로토콜(기출) 22번 포트를 사용하고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고 명령 실행등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 패킷 교환 방식(기출)

데이터그램 :  연결 경로를 확립하지 않고 순서에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전송

가상회선 : 패킷이 전송되기 전에 통신경로를 미리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