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형은 총 7문제가 나온다.
에뮬레이터에서 네트워크 셋팅을 하는 문제들이다.
예제 2번:
C 클래스 주소의 네트워크를 가지고 하나의 서브넷당 6개의 호스트를 갖도록 구성.
ip: 192.168.100.59
일단 서브넷을 구해야한다.
서브넷은 학교 호스트는 학생으로 해석한다.
학생이 6명인 학교에서 각각 학생에게 고유 번호를 부여해준다.
C클래스의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 255.255.255.255 사이의 값을 가진다.
사용할 수 있는 값은 마지막 8비트이다.
앞 부분을 네트워크 ID 뒷 부분을 호스트 ID로 구분한다.
하나의 네트워크를 6개의 네트워크로 구분하려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00
01
10
11
100
101
즉 앞의 3비트를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데 사용하고 나머지 비트를 호스트ID로 사용하면 된다.
255 - 7(4+2+1) = 248
즉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48이 된다.
이걸 셋팅해주면 된다.
로컬 연결 속성에서 IPv4를 선택하고 설정한다.
자동으로 IP주소 받기를 다음 IP주소 사용으로 체크하고
문제에서 주어진 ip주소, 계산한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서버
이러면 끝이다.
서브넷 마스크만 구할 수 있으면 되는 문제다.
예제 3번:
DHCP서버 구축
1. 여기서도 에물레이터의 IPv4를 우클릭한 뒤 새범위 버튼을 클릭한다.
2.범위의 이름에 문제에서 제시된 Network를 입력하고 다음버튼을 누른다.
3. 시작 ip주소와 끝 ip주소, 서브넷 마스크칸에 문제에서 주어진 값을 입력한다.(여기서 함정으로 시간을 환산해야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4. 다음 화면에서 제외 주소를 입력하고 다음. 제한 시간에서도 마찬가지로 주어진 값을 입력한다.
5. 예, 지금 구성합니다 클릭.
6. 기본 게이트 웨이도 똑같이 주어진 값을 입력한다.
7. 도메인 설정에서 제시된 값을 입력한다.
8. 예 지금 활성화합니다 클릭
문제가 끝났다.
예제 4번:
1개의 ip를 이용하여 2개의 web 서버를 만드는 문제다.
1. 애뮬레이터에 보이는 사이트를 오른쪽 클릭하고 웹 사이트 추가를 클릭한다.
2. 대소문자를 구별하여 문제에서 제공한 값을 설정한다.
3. 도메인 명은 호스트 이름에다 적어준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웹사이트 등록이 완료되었다. 다른 하나도 같은 방식으로 진행한다.
4. 그 다음에 바인딩 편집을 해준다.
5. 기본적으로 있는 것 외에 하나 더 추가해준다. 여기에 주어진 값을 작성해준다.
문제가 끝났다.
예제 5번:
DNS 서버를 구축하여라.
이 문제는 화면에 무언가 힌트가 제시된다.
화면에 나온 것
정방향 조회 영역 우클릭
새영역
다음
다음
다음
영역 이름은 문제에서 주어진 값을 입력한다.
다음
다음
다음
마침 버튼 클릭.
그 다음 만들어진 항목에 우클릭 속성
SOA 관련 설정하기
일련번호 입력.[10]으로 적혀있으니 똑같이 입력하기
주서버는 일련 번호 다음 것
책임자는 주서버 다음것.
남은 건 호스트와 별칭
우클릭 새 호스트에서 주어진 값 입력하고 추가.
우클릭 새 별칭에서 ftp입력 정규화된 도메인 이름은 www
예제 6번:
FTP 설정
사이트에서 우클릭 FTP사이트 추가 클릭
사이트 이름과 디렉터리 주어진 값 입력
ICQA, 실제경로에 나온 값.ip주소와 포트번호 입력.
권한 페이지에서 엑세스 허용에서 문제에서 주어진 값 입력.
이 문제는 두개의 사이트를 추가해야한다.
예제 7번 로컬 보안 정책 설정.
그냥 문제에서 나온 부분을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을 찾고 설정을 바꿔준다.
예제 8번 가상 컴퓨터 생성.
하이퍼 v 관리자 아래에 서버 클릭
이름 입력
위치가 주어졌으면 위치 변경
메모리 변경
설정할만한 부분이 없으면 그냥 넘어가기
가상 하드디스크 설정.
나중에 운영체제 설정 클릭하고 다음 마침.
문제 끝.
[ 단답형 ] 9~
윈도우 서버 문제 라우터, 케이블 제작을 먼저 충분히 공부한 다음 준비하는 게 좋다고 한다.
범위가 너무 넓어서 그렇다고 한다.
허브의 종류는 3가지가 있다.
더미 허브, 지능형 허브 스위칭 허브
더미 허브는 물리계층에 속하며 리피터로 구성된다.
하나의 대역폭을 연결된 모든 노드들이 공유한다.
스위칭 허브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하며 데이터 패킷의 수신지 주소(MAC)를 읽어 특정 포트로만 패킷을 전달한다.
----
라우터 명령어 ip route
R1에서 R2로 연결된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있는 경로 정보 입력.
ip route 192.168.20.0 255.255.255.0 176.18.1.2
왼쪽 부터 순서대로 목적지 주소, 서브넷 주소, 경유지 주소로 작성한다.
스위치를 중복으로 운영하는 경우 스위치가 고장났을 때 루핑문제가 생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TP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주소 수집.
공통되는 부분으로 나머지 주소를 0으로 처리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에서 24비트 값에 의해 구별될 수 있기 때문에 24를 적용한다.
160.70.14.0/26
160.70.14.64/26
160.70.14.128/26
160.70.14.192/26
여기서 중복되는 부분은 160.70.14이므로 나머지 자리의 주소는 0으로 처리해서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160.70.14.0
서브넷 마스크는 26개의 1에서 4개의 네트워크를 구별하기 위해 필요한 비트 2칸
00
01
10
11
답은26개의 1에서 2개가 줄었으니 160.70.14.0/24가 된다.
리눅스 명령어 문제
프로세스 종료 Kill
실행중인 프로세스 강제 종료 옵션은 -g
kill -g 프로세스 아이디
답은 kill
VPN
2계층 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L2F, PPTP, L2TP
외부 라이팅 프로토콜
EGP, BGP
내부 RIP , IG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