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저기 그리고 네트워크 관리사 2급을 공부하며 서브넷팅이 잘 이해가 안가서 정리해보려한다.
IP 주소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192.168.0.1 이런 식의 주소는 IPv4를 나타낸다.
IPv4는 클래스라는 개념이 있는데 최대 수용가능한 클래스마다 호스트가 달라진다.
클래스 A는 시작 비트가 모두 0으로 시작하는 아이피이다.
0.0.0.0 ~ 127.255.255.255까지의 범위를 가진다.
만일 1.255.0.128이라는 아이피가 있다면 네트워크 아이디는 10, 호스트 아이디는 125.245.1이다.
이중에서 127로 시작하는 주소는 루프백 주소로 네트워크를 테스트하기 위한 용도이다.
따라서 일반 호스트로 사용할 수 없다.
최대 16,777,216개의 호스트를 수용할 수 있고 주로 국가나 글로벌 기업이 사용하는 대형 네트워크이다.
클래스 B의 시작 비트는 항상 10이다.
시작비트가 10이라는 의미는 2^7 * 1을 말하고 이는 128이다.
클래스 B의 범위는 128.0.0.0 ~ 191.255.255.255이다.
네트워크 아이디는 128.0 ~ 191.255 까지이고 호스트 아이디는 0.0 ~ 255.255가 된다.
클래스 C의 시작 비트는 항상 110이다.
위와 같이 계산해보면
192.0.0.0 ~ 223.255.255.255까지의 범위를 가진다.
예를 들어 192.125.94.4의 경우 네트워크 아이디는 192.125.94이고 호스트 아이디는 4가 된다.
앞에서부터 특정 자리까지의 값을 네트워크 주소라고 하고 나머지를 호스트 주소라고 한다.
이게 무슨 말인고 하니...
네트워크 주소는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C클래스의 경우 앞의 24비트가 네트워크 주소이니 외부에서 해당 네트워크를 식별할 때 이 값을 사용한다는 의미다.
192.168.0.1과 같은 ip가 있다고 하자. C클래스에 해당하는 ip로 192.168.0까지가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주소이고
뒤의 1은 호스트 주소를 나타낸다. 호스트 주소가 모두 0인 것은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되고 모두 1인 주소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자 이렇게 학교에서 192.168.0.1이라는 부여받았다. 근데 하나의 학교에서는 여러 대의 기기가 있는데 모두 용도가 다를 수 있다.
학생 컴퓨터, 선생님 컴퓨터, 서버 컴퓨터 등등...
서브네팅은 이들을 작은 군집으로 쪼개어 관리하는 개념이다.
서브넷 마스크와 서브넷팅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의 네트워크 아이디와 호스트 아이디를 변경하여 네트워크 주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다.
로클 네트워크 내부 호스트 ip대역과 외부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sub 하위 net네트워크를 합친 말로 같은 그룹안에 속하도록 같은 주소로 덮어씌우는 마스킹 과정이라하여 서브넷 마스크라고 한다.
이를 통해 분리된 네트워크를 서브넷이라고 한다.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와 동일하게 32자리의 2진수로 이루어져있고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주소까지의 길이까지 1로 채워 씌워진다.
즉 클래스 C의 경우 앞의 24비트가 네트워크 주소이니 24비트가 모두 1로 채워진다.
이렇게 서브넷 마스크가 적용된 주소는 ip주소/서브넷 마스크의 형태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192.168.0.2 / 255.255.255.0 의 경우
192.168.0.2/24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