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4 정처기 실기 1회차 합격 후기

effortless 2024. 6. 18. 17:32

 

올해 4월에 본 2024 정처기 실기 1회 차 결과가 나왔다.

 

 조금 이상하다. 점수가 생각보다 잘 나왔는데 생각해 보니 시험이 끝난 후 커뮤니티에서 출제 오류 얘기가 나왔었다.

매년 첫 시험이 쉽게 나오는 걸 감안해도 이 정도로 잘 보진 않았던 것 같은데 내 생각엔 전원 정답처리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이번 회차는 합격률이 전보다 높을 것 같다.

 

혹시 정처기 실기 시험을 준비하실 분들을 위해 팁을 적어보자면

 

정처기 시험 문제는 맞히라고 내는 문제 + 틀리라고 내는 문제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역대 처음으로 출제된 스킵잭 암호화 알고리즘이라던가 대부분의 교재에서 한 두줄로 설명되어 있는 개념을 디테일하게 물어본다던가.. 100까지의 수에서 완전수를 찾으라는 문제가 나와서 완전수가 뭐야;;😟 생각했었다. (완전수는 1부터 100까지 6과 28이 있다.) 이런 경우는 평소 관심이 있던 주제가 아니라면 풀 수 없는 문제다.(지금 까지 2번 나왔으니 앞으로도 나올 가능성이 있다. 완전수가 뭐가 있는지 외워가자)

이런 건 틀리라고 낸 문제기 때문에 일종의 만점 방지용 문제로 틀려도 여유롭게 합격하느냐와 아슬아슬하게 합격하느냐의 차이다.

 

중요한 건 코딩문제와 SQL문제로, 0점부터 문제를 맞혀서 60점을 채운다고 생각하면 여기서 채워야 한다.

정처기 실기는 코딩문제 + SQL문제 다 맞추고 빈출 되는 단답형 몇 개 맞추는 시험이다.

(정처기의 합격률이 낮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본다. 단답형을 맞추는데 집중하면 떨어진다 경험담이다. OTL)

 

조금 팁을 드리자면 코딩, SQL 문제가 너무 복잡하다면 눈치로 풀어도 된다는 것이다.

자바는 상속 문제가 나오고 파이썬은 문자열, 자료형 다루는 문제가 나온다. 눈치로 푸는 문제는 거의 C언어로 출제된다.

 

예를 들어, 함수 이름과 변수 이름으로 어떤 함수인지 알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팩토리얼을 연상할 수 있는 함수 이름이라서 한 두 개의 값을 대입해서 확인해 봤을 때 맞다면 다 계산하지 않고 팩토리얼을 구하면 정답이었던 문제가 있었고 시저 암호, 은행 예금, 출금문제. 모두 직접 손으로 입력값 출력값 적어가면서 풀지 않아도 맞출 수 있는 문제들이었다.

함수 이름은 팩토리얼로 출제되었는데 정작 로직은 정렬 알고리즘일리가 없다.

 

한 번은 시간복잡도가 n의 4 제곱인 4 중첩 반복문 문제가 나온 적이 있었다. 내 기억으론 아마 1번 문제로 나왔었던 것 같은데 많은 수험생들이 당황했을 것이다. 주어진 시간 안에 이걸 직접 표를 그려가며 풀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그래서 어차피 틀릴 거 함수 이름을 보고 지뢰 찾기를 했으면 정답이었다. 이런 문제는 입출력값 적어가며 풀라고 낸 문제가 아니다.

(역으로 생각했을 때도 함수 이름이 지뢰 찾기인데 우리가 아는 지뢰 찾기가 아닌 다른 방식의 지뢰 찾기로 낼 확률이 얼마나 있을까)

 

파이썬 코딩 문제는 쉽게 나오니 꼭 익혀가는 것을 추천!

(파이썬 문제도 마찬가지다. 주로 리스트를 다루거나 람다 식을 다루는 문제들이 나오는데 만약 시험장에서 문제를 봤는데 뭔지 모르겠다면 어차피 틀릴 문제 그냥 더하기 기호가 있다면 다 더해서 답안을 제출하는 편이 좋다.)

 

단답형 공부 포인트는 맞추라고 내는 문제는 꼭 챙겨가자. 노골적으로 틀리라고 낸 문제는 맞히려야 맞출 수가 없다.

책에도 안 나온 스킵잭 알고리즘을 어떻게 맞출까. 출제자도 맞춘 사람을 보면 어떻게 맞췄는지 의아해할 문제다.

 

맞추라고 낸 문제는 대표적으로 디자인 패턴이 있다. 디자인 패턴에 대한 설명을 주고 어떤 패턴인지 맞추라는 문제로, 보기로 주어지는 패턴은 주로 나왔던 것이 또 나오곤 한다. 맞추라고 내는 문제고 꼭 한 문제씩 나오니 틀리면 너무 아쉽다. 주의할 점은 교재와 위키백과의 설명대로 그대로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헷갈린다면 소거법을 사용해서 아닌 것들을 제거하고 남는 걸 선택해야 할 수도 있다.

 

보안 쪽에서도 빈출 되는 부분이 있다.

* 암호화 알고리즘

* 보안 공격 용어

* 보안 방어 용어

이 부분은 대부분의 참고서에서 굵은 글씨로 표시되어 있을 테니 외우는 걸 추천!

 

테스트 쪽에서 빈출 되는 부분은 화이트 박스 테스트의 분기 커버리지로 다소 헷갈릴 수 있는 개념이어서 확실히 정리하고 가는 것이 좋다.

영어로 나오기도 하니 영어로도 명칭을 알아야 한다.

 

라우팅 알고리즘도 빈출 개념이다. RIP라던지 OSPF라던지.

 

처음 보는 문제, 단어라고 겁먹지 마시라. 정말 빈출 되는 개념이 아니라면 힌트를 주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템퍼 어쩌고 프루핑 어쩌고 나오고 용어를 물어본다면 템퍼프루핑 찍으면 정답이었다.

글을 마치며...

시험 출제 유형이 실시간으로 변한다고 느낀다.  

매 회차 꼭 나오던 서브넷 마스크 계산 문제가 1년 동안 안 나왔다. 그러나 이번 시험에서 비슷한 문제가 나왔고

필기에 자주 나오고 실기에는 안 나오던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문제가 나왔다.

 

시험을 보는 과목(컴퓨터) 이 어려워서 어려운 시험이 아니라 한 두 문제로 떨어지는 경우 그 한 두문제가 어디에서 출제될지 예측하기 어려워서 어려운 시험이라고 생각한다.

 

정리

정처기 실기는 코딩 문제에서 점수를 최대한 따고 한 두문제 차이로 떨어지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 안전하게 단답형을 공부하는 것이다.

어차피 틀릴거 안적는것 보다 역으로 생각했을 때 당연히 이러지 않겠어? 마인드로 접근해서 찍자.

 

시험을 준비하며 정리했던 내용

https://effortless.tistory.com/96

 

[정보처리기사 실기] 준비

정처기 필기는 합격했고 실기를 준비하는 중이다. * 시험 팁 : 모르겠다면 단순하게 생각하는 것이 정답률을 높인다. 예를 들어 템퍼와 프루핑 어쩌고를 묻는다면 그냥 에라 모르겠다 템퍼 프루

effortless.tistory.com

https://effortless.tistory.com/97

 

[정보처리기사 실기] #1- 1장~ 4장

중요 키워드 : 디자인 패턴 , UML, 데이터 모델링1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1. 요구사항 확인* 럼바우 데이터 모델링 객체 모델링 - 정보 모델링, ERD 동적 모델링 - 상태 다이어그램 기능 모델링 - D

effortless.tistory.com

https://effortless.tistory.com/98

 

[정보처리기사 실기] #2 - 5~8장

5장 중요 키워드 : JSON(20년 1회차 기출), XML(20년 1회차 기출), Ajax(20년 2회, 23년 기출) 6장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이 부분은 상당히 중요하기 때문에 따로 다룰 예정이다.

effortless.tistory.com

https://effortless.tistory.com/99

 

[정보처리기사 실기] 파이썬

파이썬 문제는 자주나오고 쉽기때문에 틀리긴 아깝다.주로 나오는 문제는 파이썬의 메소드를 맞추는 문제와 리스트 슬라이싱, 람다 함수가 나온다.주의할 점은 출력 결과를 맞추라는 문제로 만

effortless.tistory.com

https://effortless.tistory.com/100

 

[정보처리기사 실기] 자바

자바는 주로 static변수와 상속, 스레드 등이 나온다.상속과 스레드의 경우 조금 어려울 수 있으니 유튜브에서 이전 기출문제 해설을 보고 공부하는 것을 추천. 스레드22년 1회차class Car implements Ru

effortless.tistory.com

https://effortless.tistory.com/101

 

[정보처리기사 실기] SQL

중요 키워드 : SQL 작성하기, 관계대수, 관계해석, 스키마의 종류, 튜플, 애트리뷰트, 차수, 카디널리티, CASCADE 스키마는 외부, 개념, 내부로 나뉜다. 외부는 사용자나 개발자의 관점에서 필요로

effortless.tistory.com

https://effortless.tistory.com/102

 

[정보처리기사 실기] 테스트

중요 키워드 : 테스트 커버리지 종류, 인수테스트, 단통시인, 경곗값, 동치분할, 하스상드(하향식 스텁, 상향식 드라이버) 커버리지의 종류(빈출)구분(분기)커버리지결정 커버리지 혹은 분기 커

effortless.tistory.com

https://effortless.tistory.com/103

 

[정보처리기사 실기] 네트워크

중요 키워드 : 서브넷 마스크, SSH, 라우팅, NAT, 가상회선, 데이터 그램 OSI 7계층 APSTNDP(참고서에는 아파서 티내다, 피나다로 외우라고한다.)응용 표현세션전송 - L4스위치네트워크 - 라우터, 게이

effortless.tistory.com

https://effortless.tistory.com/104